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

고통지수란? 계산 방법, 예시, 의미

by money94 2024. 5. 24.
반응형

고통지수란?

고통지수(Misery Index)는 한 국가의 경제적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수는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을 더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고통지수가 높다는 것은 그 나라의 경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기 어렵고, 물가가 많이 올라서 생활비 부담이 크다는 뜻입니다.

고통지수는 1970년대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Arthur Okun)이 만든 지표로, 일반 대중이 경제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경제 금융 용어에서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값으로 1975년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A. Okun)이 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 착안하여 만든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는 높아져 한 나라의 국민이 느끼는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한다.

그러나 고통지수(misery index)를 절대적인 것으로 생각해 나라 간에 단순 비교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는데 이는 나라별로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계산하는 기준이 다르고 빈부격차나 조사대상에 따라서도 느끼는 고통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고통지수가 발표된 이후 이를 보완한 다양한 지표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1999년 미국 하버드대 배로(R. Barrow)교수는 오쿤의 고통지수에 국민소득증가율과 이자율을 감안한 ‘배로고통지수’(BMI; Barrow Misery Index)를 발표한 바 있다.




고통지수의 계산 방법

고통지수는 매우 간단한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고통지수 = 실업률 +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

예를 들어, 한 국가의 실업률이 5%이고 물가상승률이 3%라면, 고통지수는 8이 됩니다. 이는 그 나라의 경제적 어려움이 상당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고통지수의 의미

고통지수는 두 가지 중요한 경제 지표를 합친 것입니다.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은 모두 국민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실업률

실업률은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들 중 일자리를 찾지 못한 사람들의 비율을 말합니다.

실업률이 높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는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실업률이 높아지면 소비가 줄어들고, 이는 경제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

물가상승률은 일정 기간 동안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들어, 실질적인 생활비가 증가합니다.

물가상승률이 높으면 사람들은 더 많은 돈을 지출해야 하므로 생활이 어려워집니다.

예시를 통한 이해

사례 1: 고통지수가 높은 나라

A국의 경우, 현재 실업률이 7%이고 물가상승률이 5%라고 가정해 봅시다.

이 경우 A국의 고통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고통지수 = 7% + 5% = 12


고통지수가 12인 A국은 실업률도 높고 물가상승률도 높아서 국민들이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기 어렵고, 생활비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례 2: 고통지수가 낮은 나라

B국의 경우, 현재 실업률이 3%이고 물가상승률이 2%라고 가정해 봅시다.

이 경우 B국의 고통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고통지수 = 3% + 2% = 5


고통지수가 5인 B국은 상대적으로 경제 상황이 좋은 편입니다.

실업률도 낮고 물가상승률도 낮아 국민들이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지 않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고통지수의 한계

고통지수는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지표이지만,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첫째, 고통지수는 실업률과 물가상승률만을 고려하므로, 다른 중요한 경제 지표들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소득 불평등이나 가계부채와 같은 요소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둘째, 고통지수는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의 단순 합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두 지표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실업률이 높으면서 물가상승률도 높은 경우와 실업률이 낮고 물가상승률만 높은 경우의 경제적 고통이 동일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고통지수를 줄이기 위한 노력

정부와 중앙은행은 고통지수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경제 정책을 시행합니다.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고용 창출 정책을 강화하고, 물가상승률을 안정시키기 위해 금리 정책을 조정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입니다.

고용 창출 정책

정부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합니다.

예를 들어, 공공사업을 확대하여 일자리를 늘리거나, 기업에게 세제 혜택을 제공하여 고용을 촉진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노동자들의 기술을 향상시켜 더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금리 정책

중앙은행은 금리를 조정하여 물가상승률을 안정시키려 합니다.

금리를 인상하면 사람들이 돈을 빌리는 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고, 이는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를 인하하면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결론

고통지수는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합산한 값으로, 한 국가의 경제적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고통지수가 높다는 것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기 어렵고 생활비가 많이 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통지수를 통해 국민들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정부와 중앙은행은 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합니다.

반응형